"Liner(라이너) - 딥 리서치" 로 작성해 본 예시 글 및 라이너 화면 구성
1. 검색창에 있는 "딥 리서치" 버튼을 클릭하고 글쓰기 주제나 명령어를 입력하면 작업을 시작합니다.
2. 명령어나 작업을 지시한 후 동작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래 상태 바가 좌우로 그라이디에션 되면서 움직입니다.
3. 명령어 및 검색어를 입력하면 연관 검색어를 띄워 주네요.
4. Liner(라이너) - 딥 리서치 화면 구성 입니다.
결 론
화면 구성이 상당히 특이 합니다.
화면 우측 옆에는 Ai 엔진에서 검색한 데이터가 상세히 출력되고, 화면 중앙에는 검색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글쓰기 화면이 나오고, 글쓰기가 완료되면 왼쪽 하단에는 검색한 관련 이미지들이 표출되네요.
기존 Ai 엔진과 차별점은 AI가 컨텍스트를 분석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거의 1분 내에 출처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재가공하여 글쓰기를 해 줍니다. 아마도 Wrtn(뤼튼)과 조금 비슷한 점이 있는 것 같네요.
신기한 것은 한국 사용자는 27,400원 짜리 에센셜 요금제가 월간 구독이든 연간 구독이든 오픈되지 않아서 선택이 아예 안 된다는 점입니다. 그래도 프리 요금으로도 일 10건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 무료 10건을 소진할 때 쯤 되면 AI 엔진의 반응속도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느려집니다.
정리하자면 검색과 동시에 Ai가 요약해서 정보를 주는 기능에 특화되어 있고, 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연구 및 생산성 향상에 활용한다면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무 조건없이 주제에 글쓰기를 시켰더니 거의 6,000자 분량의 보고서 수준으로 글쓰기를 해 줍니다. 물론 글쓰기 완료 후 요약 기능은 있지만 아직 SEO 최적화 기능은
제대로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 듯 하고, 프리 버전에서는 Ai 엔진을 따로 선택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시간 내서 제대로 명령어를 내려서 차이점 및 차별점을 찾아서 글쓰기를 해 봐야겠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Liner vs ChatGPT vs Claude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 1 편과 Liner vs Gemini vs Wrtn(뤼튼) vs Perplexcity 비교편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